맨위로가기

정숙옹주 (선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숙옹주는 조선 선조와 인빈 김씨의 셋째 딸로, 1587년에 태어났다. 1595년 정숙옹주로 봉해졌으며, 1599년 신흠의 아들 신익성과 혼인하여 13명의 자녀를 두었다. 시아버지 신흠이 계축옥사에 연루되자 단식하며 옹호하고, 가문의 어려움 속에서도 헌신적인 모습을 보였다. 1627년 병으로 사망했으며, 남편 신익성과 합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27년 사망 - 자한기르
    악바르 대제의 아들로 무굴 제국의 제4대 황제였던 자한기르는 정치적 혼란과 예술 부흥을 동시에 이끌었지만, 왕위 계승 분쟁, 황후의 영향력, 시크교와의 갈등, 그리고 그의 사생활과 약물 중독으로 인해 비판받기도 하는 인물이다.
  • 1627년 사망 - 천계제
    명나라 제15대 황제 천계제는 문맹으로 정치에 무관심하여 환관 위충현과 객씨의 섭정 아래 꼭두각시 황제로 전락, 위충현의 폭정과 부패, 후금의 팽창과 맞물려 명나라 몰락을 가속화시킨 인물이다.
  • 1587년 출생 - 존 윈스럽
    존 윈스럽은 잉글랜드 청교도 지도자이자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 초대 총독으로서, "산 위의 도시" 건설을 주창하며 식민지 건설과 통치에 기여했고, 법률 제정, 정치적 갈등 해결, 원주민 관계, 노예제도 등 다양한 문제에 관여했으며, 그의 유산은 미국 예외주의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동시에 권위주의적 경향과 원주민 착취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1587년 출생 - 장유 (조선)
    장유는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 작가로서 김장생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최명길, 조익, 이시백과 절친했으며 인조반정에 참여하여 정사공신으로 신풍군에 봉해졌고, 대사간, 대사헌, 대제학, 이조판서, 병조판서, 공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하며 병자호란 당시 최명길과 함께 강화를 주장했고 신흠, 이정구, 이식과 함께 월상계택 4대가로 불린 인물이다.
  • 조선 선조의 자녀 - 광해군
    광해군은 조선 제15대 국왕으로, 임진왜란 중 세자로 책봉되어 전란 수습에 기여하고 즉위 후 대북파를 등용, 일본과 기유약조를 맺고 후금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했으나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었으며, 대동법 시행, 『동의보감』 편찬 등의 업적과 폐모살제 등의 논란으로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조선 선조의 자녀 - 흥안군 (1598년)
    흥안군 이제는 선조의 열번째 서자이자 활달한 성격의 왕자였으나, 이괄의 난에 연루되어 국청 없이 처형되었고, 위성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나 작위와 시호는 철회되었으며, 묘소는 사라졌지만 흥안대로라는 지명으로 남아있다.
정숙옹주 (선조)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정숙옹주
한자 표기貞淑翁主
작위조선 선조의 옹주
배우자동양위 신익성
자녀5남 4녀
신면 · 신변 · 신경 · 신최 · 신향
신혜순 · 신경강 · 신순강 · 신지강
아버지선조
어머니인빈 김씨
출생일1587년 3월 19일 (음력)
출생지조선 한성부 창경궁
사망일1627년 11월 5일 (음력)

2. 생애

1587년(선조 20년) 선조인빈 김씨의 셋째 딸로 태어나, 1595년(선조 28년) 옹주로 봉해졌다. 신흠의 아들 신익성과 혼인하여 13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이 중 5남 4녀만이 성장하였다. 1613년(광해군 5년) 시아버지 신흠계축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되자, 가계가 곤궁해졌으나 정성으로 음식을 마련하여 봉양하였다.

인목대비가 유폐되자 궁궐에 발길을 끊었으며, 근검하고 자녀 교육에 엄격하였다.[1] 1627년(인조 5년) 사망하여 신익성과 합장되었다.[3]

2. 1. 출생과 혼인

1587년(선조 20년) 3월 19일, 선조와 당시 종2품 숙의(淑儀)였던 인빈 김씨의 셋째 딸로 창경궁에서 태어났다.[1]

1595년(선조 28년), '''정숙옹주'''(貞淑翁主)의 봉호를 받았다. 1599년(선조 32년) 신흠의 아들인 동양위(東陽尉) 신익성과 혼인하였고, 2년 후에 출궁하여 사저에서 생활하였다.[2] 신익성과의 사이에서 13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이 중 5남 4녀만이 성장하였다.

1613년(광해군 5년), 시아버지인 신흠계축옥사에 연루되어 감옥에 갇히자, 정숙옹주는 시어머니를 따라 거적을 깔고 단식하기도 하였다. 이후 신흠이 유형에 처해지면서 가계가 곤궁해지자 옹주는 정성으로 음식을 마련하여 봉양하였다. 남편 신익성의 누나가 아버지의 유배지에 문안을 가던 도중 병에 걸려 죽자, 제사에 필요한 물품을 마련해 주었으며, 신익성의 여동생 또한 돈독하게 보살펴 주었다.[1]

2. 2. 계축옥사와 가문의 시련

1613년(광해군 5년), 시아버지 신흠계축옥사에 연루되어 감옥에 갇히자, 정숙옹주는 시어머니를 따라 거적을 깔고 단식하였다.[1] 신흠이 유배형에 처해지면서 가세가 기울자, 옹주는 정성껏 음식을 마련하여 봉양하였다. 남편 신익성의 누이가 아버지의 유배지에 문안을 가던 중 병으로 죽자, 제사에 필요한 물품을 마련해 주었고, 신익성의 여동생 또한 극진히 보살폈다.[1]

2. 3. 인목대비 유폐와 말년

1613년(광해군 5년), 시아버지 신흠계축옥사에 연루되어 감옥에 갇히자, 정숙옹주는 시어머니를 따라 거적을 깔고 단식하였다. 신흠이 유배형을 받으면서 가세가 기울자, 옹주는 정성껏 음식을 마련하여 시아버지를 봉양하였다. 또한 남편 신익성의 누이가 아버지의 유배지에 문안을 가던 중 병으로 사망하자 제사에 필요한 물품을 마련해 주었고, 신익성의 여동생 또한 극진히 보살폈다.[1]

정숙옹주는 검소하고 자녀 교육에 엄격했으며, 인목대비가 유폐되자 궁궐에 발길을 끊었다.[1]

1627년(인조 5년) 11월 5일, 정숙옹주는 병으로 사망하였다.[3] 시신은 광주(廣州) 사부촌(沙阜村)에 안장되었고, 이후 남편 신익성과 합장되었다.

3. 사후

남편 신익성은 정숙옹주의 죽음을 슬퍼하며 직접 제문을 작성하였다.[1]

옹주가 나에게 이르기를중국어

길흉은 번갈아 생기는 법인데 우리가 오랫동안 곤궁했으니 이제부터는 마땅히 형통할 것입니다.중국어

십수 년을 더 산다면 우리 자녀들이 모두 시집장가를 갈 것이니, 이 또한 인간 세상에서의 복입니다.중국어

라고 하였소.중국어

그런데 조물주는 가득 찬 것을 시기하는지라 천리의 어긋남이 이에 이르고 말았다오.중국어

막중한 제사를 나는 누구와 함께 지내겠으며, 자녀들의 혼사를 나는 누구와 함께하겠소?중국어

슬픔과 기쁨을 나는 누구와 함께 나누겠으며, 문안 여쭈는 일을 나는 누구와 함께하겠소?중국어

지금 이후로 삶이 즐거울지 아닐지 상상할 수 있다오.중국어

옹주가 세상을 떠난 이후로 나는 실의하여 살 마음이 없어졌소.중국어

그러나 위로는 노모를 걱정하고 아래로는 아이들이 염려되며중국어

또 옹주의 장례가 아직 끝나지 않았기에중국어

억지로 밥을 먹고 스스로 슬픔을 억눌러가며 뭇 일들을 처리하고 있소.중국어

(중략)

: 죽은 아내 정숙옹주에 대한 제문[1] 중 일부, 《낙전당집》, 신익성 지음

4. 가족 관계

정숙옹주는 선조의 딸로, 어머니는 인빈 김씨이다. 남편은 동양위 신익성이다.

아버지선조 (1552~1608)
어머니인빈 김씨 (1555~1613)
남편동양위 신익성 (1588~1644)



정숙옹주는 슬하에 5남 4녀를 두었다. 자녀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 별도로 정리되어 있다.

4. 1. 부모와 형제자매



순서이름출생사망
1의안군1578년1588년
2신성군1579년1592년
3정원군 부1580년1619년
4정신옹주1583년1653년
5정혜옹주1584년1638년
6의창군1589년1645년
7정안옹주1590년1660년
8정휘옹주1593년1653년


4. 2. 남편과 자녀

남편신익성(1588~1644)
자녀


참조

[1] 문서 정숙옹주묘지명
[2] 실록 선조실록 1599-11-26
[3] 실록 인조실록 1627-11-06
[4] 문서 정묘호란의 패전의 책임을 묻고 처형됨
[5] 백과사전 민유중(閔維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6] 문서 구사맹의 외손자이자 조선 인조|인조의 이종 사촌동생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